맨위로가기

이인영 (1868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인영은 1868년 경기도 여주에서 출생하여 유학을 공부하다가, 1895년 을미사변 이후 의병을 일으켰다. 이후 의병 해산과 은둔 생활을 거쳐 1907년 관동창의대장을 맡아 다시 거병하였으며, 13도 창의군을 결성하여 총대장에 올랐다. 1908년 서울 진공 작전 실패 후 부친상으로 사임하고 은신하다가 1909년 체포되어 사형당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그의 공훈을 기려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도 창의군 - 허위 (1854년)
    허위는 대한제국 시대 의병장이자 독립운동가로, 명성황후 시해 사건과 단발령에 항거하여 1896년 의병을 일으켰고, 1907년 13도 창의군을 조직해 일제에 저항하다 체포되어 순국,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 13도 창의군 - 민긍호
    민긍호는 대한제국 군인으로서 군대 해산에 반발하여 의병을 일으켜 항일 투쟁을 벌이다 일본군에 체포되어 순국한 의병장으로, 그의 공훈을 기려 건국훈장이 추서되었고 외손녀의 손자가 피겨 스케이팅 선수 데니스 텐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 한말 의병장 - 최익현
    최익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의병장으로, 흥선대원군의 정책을 비판하고 을사늑약 체결에 반대하며 의병을 일으켰으며, 위정척사 사상을 바탕으로 외세 침략에 저항하다 대마도에서 순국하고 건국훈장을 추서받았다.
  • 한말 의병장 - 안중근
    안중근은 1879년 황해도 해주에서 태어나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하고 동양 평화를 주장하며 한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한 독립운동가이다.
  • 1909년 사망 - 김요협
    김요협은 1833년에 태어나 여러 관직을 거쳐 최종 종2품 가선대부에 이른 인물이다.
  • 1909년 사망 - 에스더 박
    에스더 박은 한국 최초의 여성 서양 의사로, 미국에서 의학 교육을 받고 귀국 후 보구녀관에서 헌신적인 의료 활동을 펼치며 여성 건강 증진에 기여했으나 34세의 나이로 사망, 사후에도 업적을 기리는 기념사업이 이어지고 있다.
이인영 (1868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이인영
원어 이름李寅榮
출생일1868년 9월 23일
출생지경기도 여주 북면
사망일1909년 9월 20일
직업의병장
상훈[[파일:건국훈장2대통령장.png|x10px]] (건국훈장 대통령장,1962년)
웹사이트이인영 (독립유공자 공훈록)

2. 생애

경기도 여주 출신으로 유학을 공부했다. 1895년 을미사변을 계기로 여주에서 의병을 일으켰으나, 관군과 일본군에 맞서기 어려워 해산령 이후 의병대를 해체하고 문경에서 은둔했다.

1905년 을사늑약 체결 후 전국적으로 의병 항쟁이 다시 일어나자, 1907년 이은찬의 권유로 관동창의대장을 맡아 다시 의병 활동에 나섰다. 이후 여러 지역 의병 세력을 통합하여 한성부 진공을 목표로 하는 13도 창의군 결성을 주도하였고, 총대장으로 추대되었다.

1908년 1월, 13도 창의군을 이끌고 서울 진공 작전을 개시하였으나 실패했다. 작전 실패 직후인 1월 28일 부친상을 당하여 총대장직에서 물러나 은신했다. 이후 허위가 지휘를 이어받았으나 연합군은 결국 관군에게 패배했다.

3년상을 치르며 숨어 지내던 이인영은 1909년 6월 7일 충청북도에서 체포되었다. 옥중에서도 천황과의 면담을 요구하는 등 의지를 굽히지 않았지만, 사형 선고를 받고 서대문형무소의 전신인 경성감옥에서 교수형으로 순국했다.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됐다. 그의 동생 이은영 또한 건국훈장을 받은 독립운동가이다.

2. 1. 초기 활동 (1895년 ~ 1907년)

경기도 여주에서 태어나 유학을 공부했다. 1895년 을미사변이 일어나자 여주를 근거지로 삼아 의병을 일으켜 일본 제국의 침략에 맞섰다. 그러나 의병의 힘만으로는 대한제국 관군과 일본군을 상대하기에는 역부족이었고, 결국 조정의 해산 명령에 따라 의병대를 해산한 뒤 문경에서 은둔 생활을 시작했다.

10년이 지난 1905년, 을사늑약이 강제로 체결되면서 전국적으로 다시 의병 항쟁이 거세게 일어났다. 1907년, 강원도 원주에서 이미 의병대를 이끌고 있던 이은찬의 권유를 받아들여 관동창의대장을 맡게 되었다. 그는 다시 한번 항일의 의지를 담은 격문을 널리 알리고 의병을 모아 봉기했다.

이 무렵, 전국 각지에서 흩어져 활동하던 의병 부대들을 하나로 통합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났다. 의병 지도자들은 수도인 한성부를 공격하여 국권을 되찾을 계획을 세우고, 연합 부대인 13도 창의군을 결성하기로 뜻을 모았다. 허위와 함께 연합군 결성을 주도한 이인영은 여러 의병장들의 추대를 받아 13도 창의군의 총대장 자리에 올랐다. 그의 휘하에는 약 8천여 명에 달하는 의병이 모였으며, 허위, 민긍호, 이강년 등 당시 명망 높던 의병장들이 함께 참여하여 항일 투쟁의 결의를 다졌다.

2. 2. 13도 창의군 활동 (1907년 ~ 1908년)

1905년 을사늑약 체결 이후 전국적으로 의병 항쟁이 다시 일어났다. 1907년 강원도 원주에서 이미 의병대를 조직했던 이은찬의 권유를 받아 이인영은 관동창의대장을 맡아 격문을 돌리고 다시 의병을 일으켰다.

이 시기 여러 지역에서 의병 활동이 산발적으로 일어나자, 이들을 통합하려는 움직임이 생겨났다. 의병 조직은 한성부로 진공할 계획을 세우고 연합군인 13도 창의군을 구성했다. 이인영은 허위와 함께 연합군 결성을 주도했으며, 13도 창의군의 총대장으로 추대되었다. 그의 휘하에는 약 8천여 명의 의병이 모였고, 허위, 민긍호, 이강년 등 유명한 의병장들이 함께 했다.

1908년 1월, 13도 창의군은 결사대원을 선발하고 외국 영사관에 격문을 전달한 뒤, 양주에서 서울 진공 작전을 시작했다. 그러나 역부족으로 패퇴하며 서울 탈환에 실패했다. 서울 진공 작전 실패 직후인 1월 28일, 이인영은 부친상을 당하여 총대장직에서 물러났다. 이후 그는 가명을 쓰며 숨어 지냈다. 이인영의 뒤를 이어 허위가 연합군 지휘를 맡았으나, 관군과 일본군의 공격으로 연합군은 결국 와해되었고 허위는 체포되어 사형당했다.

2. 3. 체포와 순국 (1908년 ~ 1909년)

1908년 1월, 13도 창의군의 서울 진공 작전이 실패로 돌아간 직후인 1월 28일, 이인영은 부친상을 당하여 총대장직에서 물러났다. 이후 그는 가명을 쓰면서 숨어 지냈고, 허위가 대신 13도 창의군을 이끌었으나 관군에게 패배하고 허위는 사형당했다.

이인영은 3년상을 치르며 은신 생활을 이어갔으나, 1909년 6월 7일 충청북도에서 결국 일본군에게 체포되었다. 그는 감옥 안에서도 의지를 굽히지 않고 천황과의 면담을 요구하기도 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결국 사형 선고를 받고 서대문형무소의 전신인 경성감옥에서 교수형으로 순국하였다.

3. 사후

대한민국 정부는 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해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하였다. 그의 동생 이은영 역시 건국훈장을 추서 받은 독립운동가이다.

4. 평가

대한민국 정부는 그의 공적을 기려 건국훈장 중 두 번째 등급인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하였다. 또한 대한민국 국가보훈처는 1993년 9월, 그를 이 달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하여 그의 독립운동 정신을 기렸다.

5. 기타


  • 1993년 9월 이 달의 독립운동가로 선정되었다.
  •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받았다.
  • 대한민국 국가보훈처,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contents_id=4013&path=|183|193|&leafId=223 네이버 캐스트], 1993년
  • 경상북도 이지홈, [https://web.archive.org/web/20070928221952/http://www.easyhome.go.kr/gb/person/person_view.php?p_person_no=717&page=125 자랑스런 경북인 - 이인영]
  • 오영섭, 《고종황제와 한말의병》 (현대한국학연구소 학술총서 12), 도서출판선인, 2007년 - 제3부 한말 고종세력과 연합의병장의 관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